로고

EDENBIO
로그인 회원가입
  • 고객센터
  • 질문과답변
  • 고객센터

    1:1 상담문의

    새집증후군 관련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 허미경
    댓글 댓글 1건   조회Hit 778회   작성일Date 14-07-03 20:34

    본문

    안녕하세요 이사하면서 천연벽지를 시공하게되었는데
    가구나, 씽크대등에서 나오는 유해물질이 걱정되어 새집증후군도 같이 할까합니다.
    새집증후군(반*불이)시공을 해도 벽지의 기능이 떨어 지는것 아닌지 궁금합니다.
    추천0 비추천0

    댓글목록

    profile_image

    에덴바이오님의 댓글

    에덴바이오 작성일 Date

    ♡ 벽지를 알면 가족의 건강이 보입니다 ♡

    "유독가스를 내 뿜는 벽지와 장판" 환경정의시민연대에서 일반벽지와 장판의 유해성을 알리는 책자에서 소제목으로 잡았던 문구입니다.
    일반벽지와 장판재 1제곱미터에서 유해가스가 1시간당 각각 3,833 마이크로그람, 4,898 마이크로그람 방출된다는 환경부 조사결과도 있습니다. 이러한 오염물질이 짧게는 3년 길게는 10년 이상까지도 계속 방출되기 때문에 '집이 사람을 공격한다'는 제목의 방송보도와 신문보도가 나왔을 정도입니다.
    가족들의 아늑한 휴식공간이 되어야 할 우리 집이 그 안에 사는 가족들에게 오히려 건강상에 큰 위협으로 작용하고 있다는 것은 참으로 경각심을 갖지 않을 수 없는 주제입니다!
    저희 에덴바이오 천연벽지는 실크벽지 처럼 비닐(PVC)로 만든 겉만 화려한 벽지가 아니고 소나무와 편백나무 목분, 황토, 일라이트 분말, 녹차, 쑥, 라벤더와 같은 자연재료 그대로를 가지고 만든, 친환경 그 이상의 ‘천연’벽지입니다. 그러한 자연소재가 수분을 머금었다 뱉었다 하며 나타내는 습도조절 효과, 실내공간에 채워주는 자연의 유익한 성분들, 그리고 마루나 페인트 등에서 나오는 오염물질을 제거해주는 기능성까지 나타내기 때문에 그토록 낫지 않던 아토피 피부염, 비염 등이 저희 천연벽지로 도배를 한 후 놀랍도록 개선되는 것입니다. 참고로, 본사 홈페이지 '언론자료'의 방송보도 또는 ‘시공사례’의 시공경험담을 클릭해서 보시면 그러한 사례들의 영상과 고객님들의 경험담을 여러 개 보실 수 있습니다.

    벽지 다음으로 실내공기질(IAQ, indoor air quality)에 영향을 많이 주는 것이 바닥재와 가구입니다. 그래서 고객님께서도 벽지 외의 다른 내장마감재로 인한 오염물질 방출 문제를 고민하고 계시는 것으로 압니다. 사실 이 부분도 가능하시면 도배와 마찬가지로 근원적으로 올바른 건축자재를 엄선하여 바닥과 가구류의 시공을 진행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사정상 일반 자재로 시공을 하고 사후적으로 오염물질 방출저감을 위해 말씀하신 것처럼 별도의 조치를 취하셔야 하는 경우시라면 효과가 없는 비용 낭비적인 처리법이 아닌 본사의 연구소를 통해 처리효과가 검증된 방법을 한가지 안내해드리도록 하겠습니다.

    공개 게시글로 자세한 안내를 드리기보다는, 상담전화로 연락주시면 잘 안내를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